기타/자료

과실수 식재

yoonwoonam 2017. 3. 27. 10:42

     지난 2015년 3월 30일  토요일과 일요일 뒷밭에 유실수 식재 작업과 정원 조명 공사를 마쳤다.

이틀간에 걸쳐 매형과 친구들의 도움으로 숙원 사업을 마치게 되었다.

나무생육에 좋은 조건을 만들어주기 위해 유공관 작업(60M)을 했고, 최신품종의 과실수 28주를 식재했다.

2001년 건축이후 대문기둥 위에 설치 해야할 문주등 작업과 정원에 조명이 없어서 행사때마다 불편을 겪어야했던 조명문제를 포크레인 유공관 작업과 병행하여 전선관 매립작업과 인터넷을 통해 미리 주문해 놓은  브레커 스위치박스와 조명기구들을 설치하는 작업을 마치게 되었다.

오랫동안 하고싶었던 정원 전기공사를 마치니 기공 15년만에 준공을 한기분이다.

5월 첫주 연휴에 수고한 친구들을 불러 점등식이라도 가져야 할까보다.

* 4월 11~13일 전등설치와 멀칭포 깔기, 펌프실 지붕작업을 마치고 글 업데이트 한다.

* 살구나무 5주 전멸로 2017년 3월 25일 사과나무 스칼렛 서프라이즈로 대체하고 글 업데이트 함.

 

1. 태상왕 대추 10주

대추 국제 2호 태상왕(사과대추)

과명갈매나무과 영명Jujube
학명 Zizyphus jujuba cv

● 국제원예종묘(주)에서 선발 개량 육성한 두번째 대추 품종으로서 기존의 대과종 대추보다도 열매가 더욱 크고 높은 수확량 및 당도를 지님.

● 기존 슈퍼 왕대추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건과의 주름 잡힘이 월등하게 뛰어나, 생과뿐만 아니라 건과로서도 상품성 및 시장 전망이 매우 높은

● 평균 과중 60-80g, 최대 과중 120g에 달하는 최고의 초대형 대추로서 최고의 당도와 최대 수확량을 지닌 최우수 품종임. (국제원예종묘(주) 출하 대추 전 품종 대비)
● 빗자루병에 강하고 큰 열매가 달림에도 낙과가 거의 없는 최우수 대추 품종으로서 시중에 사과대추, 애플대추라 불리우며 아삭거리는 뛰어난 식감을 지녀 최고의 인기를 모음! 수확된 생과는 전량, 높은 시세(1kg당 3만원 전후)로 인터넷 판매

 

2. 바이오체리 6주

바이오체리

과명

장미과

영명

Biocherry

학명

 

최신 과수 품종 바이오체리

숙기: 7-8 / 과중: 40~60g / 당도: 13.5brix

바이오체리는 기존의 체리와 유럽자두 품종을 교배하여 탄생된 새로운 과수 품종으로서 기존의 체리보다 큰 열매를 지녔을 뿐만 아니라, 자두향이 곁들어진 열매의 독특한 맛 또한 일품입니다.

* 흑색 과피와 황색 과육을 지닌 바이오체리의 열매는 자두 향이 가미된 특유의 맛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여 건강 과수로도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 기존의 체리나 자두품종과는 달리 바이오체리는 수분수 없이도 한그루만으로도 자가 결실이 잘되는 특성을 지녀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열매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바이오체리는 여러 자두 품종과 수분 친화성이 좋아 결실이 잘 안되는 자두 품종 수분수로 매우 좋습니다.

 

 

 

3. 속 빨간 사과 스칼렛서프라이즈  5주

 

 

 

 

 

숙기

: 8월 중순~하순

붉은 장미 같이 아름다운 적색의 과육이 건강에 좋은 항산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맛 또한 좋은 최신 사과 품종. 봄에 피는 분홍 꽃과 더불어 잎과 수피까지도 진한 붉은 색을 띠어 과수뿐만 아니라 정원수로서도 가치가 매우 높아 인기.

 

 

 

 

4. 미니사과 파이어크래커  6주

속 빨간 미니사과 파이어크래커

과명

영명

학명

 

숙기:9월 중순

진한 붉은 과육을 지닌 특이 소형 사과 품종으로서 왜성으로 자라며, 내한성이 매우 강함. 달콤한 향과 더불어 상큼한 맛을 지닌 열매는 샐러드, 디저트, 주스용으로 인기가 높음. 흰꽃이 피는 일반 사과 품종과는 달리 미니사과 파이어크래커는 봄 철에 진한 분홍의 아름다운 꽃을 피우며 잎 또한 붉은 빛을 띠어 과수뿐만 아니라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높음.

 

 

 

 

'기타 >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상의 전환  (0) 2017.04.21
잉글리쉬 로즈  (0) 2017.04.10
4차 산업혁명과...  (0) 2017.03.22
장미식재  (0) 2017.03.10
국화 분재  (0)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