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공통

음향장비와 좋은음악 듣기

yoonwoonam 2022. 8. 29. 16:20

-. 음향장비 세팅

1. 기기에게 적응할 시간 주기
   모든 시스템은 며칠이아니고 몇 달, 심지어 몇 년이 걸려야 제소리를 낼수도 있습니다.
기기나, 전체 시스템의 음색과 특성이 대체로 좋은 경우에, 일부 부족한 부분은 시스템의 일부인 케이블, 튜브, 배치, 기타 세팅을 통해 더 개선할 수 있습니다.

2. 세팅은 대편성곡으로 하기
  단일 악기나 재즈 트리오를 들음으로써 시스템의 음조 균형을 조정하는 것은 우리를 오도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세팅은 대형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는 클래식 음악으로 셋팅하세요.. 

3. 무선 보다는 유선 연결하기
가장 좋다는 와이파이 및 블투 연결도 음질 측면에서는 유선보다 못합니다.

4. 케이블은 공중 부양
  원치 않는 진동이 기기에 침투하여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바닥이나 벽 같은 진동원으로부터 케이블을 이격 시키는게 좋습니다.
케이블을 바닥에서 떨어뜨리고 케이블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조정하면 성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5. 진동 제어하기  
   진동 제어는 기기 자체의 진동을 없애기 위한 것과 기기로 들어오는 외부 진동을 제거하기 위한 것 2가지 측면으로 CDP 모터, 턴 모터, 스피커 진동, 스피커 진동으로 인한 주변 진동, 턴페이블 뚜껑 진동, 기기내 트랜스 진동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스파이크는 진동 흡수 장치가 아니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일종의 전달 물질로써, 진동이 스파이크 끝의 한 지점으로 집결되고 다른 받침으로 전달시키지만 제거되지는 않습니다. 
스파이크와 접촉된 경우 진동은 해당 면으로 전달됩니다. 아래에 코르크,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격시켜줘야 합니다.  


6. 스피커 받침 대리석 
  스피커 아래의 대리석 받침은 스피커의 원치 않는 공명을 대부분 제거합니다. 대리석의 두께는 최소 3cm 이상이어야 하며 크기는 가장자리보다 최소 10cm 이상 커야 합니다. 대리석 아래는 코르크,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이격되어 있어야 합니다.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은 더 강하고 명확하고 단단한 저음, 중음 및 고음이 나오게 합니다.​

7. 카펫 위에 설치시 스탠드와 기기랙 접지하기
    특히 습한 날씨와 카펫이 깔린 청취 환경에서는 정전기가 문제가 됩니다. 카펫은 랙이나 사람의 손길을 통해 정전기로 충전됩니다. 
카펫의 정전기는 너무 강력해서 이를 제거하려면 스피커 스탠드와 장비 랙을 가는 와이어로 접지해야 합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인해 카펫이 깔린 경우 특히 스피커 케이블과 인터 케이블을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8. 극성 맞추기 
     전자 제품은 극성에 관계없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하이파이도 마찬가지이나 AC에서의 극성 또한 기기에 미치는 영향 또한 중요합니다.
극성을 찾는 간단한 방법중 하나는 장치 외부에 보호 퓨즈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퓨즈를 빼고 장치가 주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검침펜으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극성이 맞지 않으면 AC 플러그를 반대로 꼽으면 됩니다.

9. 깨끗한 전원 공급하기  
  기기가 많을수록 전원에 노이즈가 더 많아지고 시스템에서 음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집안을 돌아 다니며 전원에 연결된 사용하지 않는 모든 기기를 끄는 것도 방법입니다.
벽체 배전반에서 하이파이 전용 출력을 다른 용도의 전원 출력과 분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훨씬 편안한 사운드, 더 깊고 넓은 사운드 스테이지, 더 많은 내부 디테일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 음악 들을때

 

1. 어둠 속에서 듣기
   눈을 감거나 어둠 속에서 청취하면 소리에 몰입할 수 있어 더 많은 음향적 디테일을 들을 수 있습니다.
하이엔드 시스템을 위한 가장 불편한 부분인 비주얼 이미징을 없애햐 한다는 것입니다.

2. 밤에 듣기 
    밤에는 주변 소음이 몇 배 더 낮기 때문에 시스템이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합니다. 

3. 톤 컨트롤, EQ 제거하고 퓨어 다이렉트, 바이패스 적용하기
   일부 기기에서 볼수 있는 베이스, 트레블 조절 노브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EQ 기능은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퓨터 다이렉트, 바이패스 기능이 있는 경우 이를 적용해 모든 톤 컨트롤을 배제시켜야 합니다.

4. 디스플레이(앰프, 소스기 등의 정보창) 끄기
   디스플레이는 전기적 노이즈를 동반합니다.

5. 기기, 스피커, 케이블 워밍업하기 
   모든 오디오 장비는 워밍업 시간이 필요합니다. 저항, 커패시터, 튜브 및 기타 부품이 차가울 때와 따뜻할 때  스펙이 달라지늗데 제조업체는 장치가 따뜻할 때 최종 설정을 합니다.  
스피커는 크로스오버 저항이나 보이스 코일 같은 패시브 부품이 워밍업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합니다.  
케이블도 유전체가 충전될 때까지 일정 시간 동안 워밍업해야 합니다.

6. 올바른 볼륨으로 듣기
   너무 낮은 볼륨, 너무 큰 볼륨은 특정 악기나 음역대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거나 과장 왜곡 시킵니다.

'음악 > 음악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IM NDX LED표시창 수리  (0) 2023.01.11
진공관 앰프  (0) 2023.01.03
5년전 오토그라프 제작 추억  (0) 2022.06.13
롯데파이오니아 명기 LA1200  (0) 2022.06.13
B&W HTM2 Diamond 센터 스피커  (0)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