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국내여행기

영구영구여행

yoonwoonam 2006. 9. 10. 14:20




 

<소쇄원>

 

 

 김영랑 생가.

 

소재지 :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탑동

지정번호 : 지방기념물 제89호

지정일 : 1986년 2월 7일

규모 : 생가일원(4,422㎥)

건립년도 : 1906년

탐방시간 : 09:00~17:00

이용료 : 없음

 

 

영랑 김윤식 선생은 1903년 1월 16일 이곳에서 김종호의 2남 3녀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에는 채준으로 불렀으나 윤식으로 개명하였으며 영랑은 아호인데 문단활동시에는 주로 이 아호를 사용했다.

 

영랑 선생은 1950년 9월 29일 작고하기까지 주옥같은 시 80여편을 발표하였는데 그중 60여편이 광복전 창씨개명과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이곳에서 생활하던 시기에 쓴 작품이다.

 

영랑생가는 1948년 영랑이 서울로 이거한 후 몇 차례 전매 되었으나 1985년 강진군에서 매입하여 관리해 오고 있는데 안채는 일부 변형 되었던 것을 1992년에 원형으로 보수하였고, 문간채는 철거 되었던 것을 영랑 가족들의 고증을 얻어 1993년에 복원하였다. 생가에는 시의 소재가 되었던 샘, 동백나무, 장독대, 감나무 등이 남아 있으며 모란이 많이 심어져 있다.

 

우리나라 서정시인의 거묵이며 시문학파 동인이었던 영랑 김윤식이 1902년 출생하여 1948년 9월 가족과 함께 서울로 이주 하기까지 46년을 살던 곳으로 영랑의 시적 소재의 산실이다. 현재의 영랑생가는 선생이 이주하고 그 후 몇차례 전매 되면서 원형이 크게 훼손 되었던 것을 1985년 강진군이 도비지원을 받아 다시 사들여 연차공사로 복원한 것이다. 안채는 일부 변형되었던 것을 1992년에 원형으로 보수하였고 ,문간체는 철거되었던 것을 영랑가족들의 고증을 얻어 1993년에 복원하였다.

생가로 들어 가는 길엔 구부러진 돌담(시;내마음 고요히 고흔봄 길우에)이 있고, 입구넓은 잔디밭에 서 있는「모란이 피기까지는」의 돌 시비를 지나 문간채 대문을 들어서면안채가 나온다. 안채 왼쪽으로 옛날 돌로 쌓아진 우물(시; 마당앞 맑은 새암은)이 제 모습 그대로 하고 있으며. 안채 오른쪽으로 장독대와 감나무(시;오메 단풍 들 것네-원제는 누이야 내 마음을 보아라)와 모란꽃밭(시;모란이 피기까지는)이 있다.

꽃밭에서 더 오른쪽으로 가면 북을 두들기며 시를 읊고 쓰던 사랑채가 자리하고 있는데
그 앞의 은행나무(시;아파 누워 혼자)는 영랑이 19살에 심었다고 한다. 안채 뒷편 언덕엔
대나무숲과 동백나무들이 있는데 영랑의 데뷔작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의 모태인
것이다.

 

 

 

 


 

 

<영랑생가>













 

 

<승주 송광사>






'국내여행 > 국내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당합각 재헌루정  (0) 2012.04.30
3 인치가 줄었어요.  (0) 2007.07.23
2006 금강산 여행사진  (0) 2006.09.06
2006년 서울대AMP 제주세미나  (0) 2006.06.30
2005 가을여행1  (0) 2005.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