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작글

Availability Heuristic Error

yoonwoonam 2020. 8. 25. 09:06

   요즈음 내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중 단편적으로는가짜뉴스에 현혹돼 얼토당토 않은 얘기를 한다거나,  스스로의 고정관념이나 자기 믿음에 빠져 생각이 다른 상대방들과의 갈등을 하는 일들을 멏번 겪었다.

과연 이들의 생각이 정해지는 로직(logic)은 무었일까 생각하다가 어젯밤 자료를 찾아보고 생각을 정리해 포스팅 해 본다. 

 

Availability Heuristic 의 오류

사람들이 판단을 할때는 쉽게 떠올릴 수 있는 3가지가 정보가 주요작용을 하게된다. 

1. 최근에 접했거나,  

2. 친숙하거나,

3. 특출난 정보이다.

 

광고를 많이 하는 제품은 성능이나 품질이 경쟁사에 비해 떨어지더라도 다른 제품보다 자주 접했거나 기억이 생생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가능성이 더 높다.

서울대학교 근처 에 있는 당구장 주인은 세상의 대학생이 모두 서울대학생이라고 생각한다. 매일 오는 손님들이 그들이기 때문이다. 놀이공원에 가는 것과 자전거 운전 가운데 더 위험한 것은 무엇일까? 사실은 자전거 운전이다. 놀이 기구가 정지한 사고는 보도되지만 한강변의 자전거 사고는 방영되지 않는다. 사망 원인이 교통사고가 높을까? 암일까? 착각하지 말라. 암이다. 암은 개별적 사건이라 잘 드러나지 않지만 교통사고는 뉴스에서 매일 접한다.
사람들은 자주 보는 것을 믿는다. 열 번 찍어 안 넘어 가는 나무가 없다는 속담도 그런 뜻이다.

삼성 갤럭시와 애플의 제품의 장점을 애플에는 1가지 장점을 삼성에는10가지 장점을 말하게 한다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애플 휴대폰에 더 많은 호감을 나타낸다. 10가지 장점을 답하게 한 집단이 훨씬 더 많이 떠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낮은 호감도를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리 좋아하는 것이라도 장점을 10가지나 떠올리는 것은 쉽지 않다. 단지 떠올리기 어렵기 때문에 장점이 별로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어 호감도가 낮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머리 속에서 가장 처음 떠오르는 정보는 잘못된 판단을 유도할 가능성이 높은 정보인 경우가 많다.

 

가용성 휴리스틱(Availability Heuristic)

    위에서 예를 든것처럼 쉽게, 빠르게 생각나는 근거를 사용해 가치를 평가하고 의사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 타당한 근거가 아닐 수가 있고 이로 인한 오류가 생길수가 있는것이다.

   오류의 예를 보면  7문자로 된 단어 중 ing로 끝나는 단어와 6번째가 n인 단어 중 무엇이 더 많을까? 사람들은 ing로 끝나는 단어가 더 많을 거라고 답한다. running, evening 등의 단어를 쉽게 떠올리기 때문. 그러나 실은 ing로 끝나는 단어는 6번째가 n인 단어에 포함되기에 6번째가 n인 단어가 더 많은것이다.

   

자신의 노력은 빠짐없이 모두 챙겨서 저울에 달지만, 타인의 노력은 주변에서 눈에 띄는 것만 대충 모아 반대쪽 접시에 올리는 것. 그러니 자신의 노력이 늘 더 무거워 보인다.

  집안일과 자녀 양육 같은 일에 대한 본인의 기여도를 백분율로 평가하는 경우 언제나 부부의 총합이 100%를 넘는다. 남편이든 아내든 대부분 자신의 기여도를 과대평가하고 배우자의 기여도를 과소평가한다. 내가 청소하고 빨래한 것은 다 알고 기억하지만, 내가 없는 동안 배우자가 이불 정리하고 설거지한 것은 알지도 못하고 중요하게 여기지도 않는다.

또하나 기업에서도 많은 사람이 자신이 기여한 만큼 보상을 받지 못한다고 느낀다. 팀 단위 프로젝트를 할 때 다른 팀원들의 공헌도를 평가하라고 하면 비교적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 그 총합은 100%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자신의 공헌도를 평가하라고 해서 합을 내면 언제나 100%를 훌쩍 넘긴다. 그러니 승진이나 성과급에 만족하는 사람보다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 당연한 결과로 나오는 것이다.

  이와같은 경로로 각자의 어떤 현상이나 사물에 대한 생각이 정해지기 때문에 그가 객관적인 오류가있는지 없는지 판단이 유보된 상태에서 의사표현을 하고 행동을 하여 생각이 다른 사람들끼리의 갈등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모쪼록 왜곡된 정보로 인한 가짜뉴스가 넘쳐나는 요즈음 이로 인한 Availability Heuristic Error로 혼란스러운 사회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